길벗·이지톡

도서 취업/수험서 취업/기타

성큼 다가온 인공지능의 5차산업혁명 시대,

21세기 인문계 학과는 여러 분야에서 전문성을 갖춘 M자형 인재를 키운다

과거 산업화 시대, 한 우물을 깊이 파서 전문가가 되는 ‘I형 인재’가 선호되었습니다. 정보화와 글로벌 시대가 되면서 한 분야를 깊이 파고들면서 다양한 영역을 이해하는 ‘T자형 인재’가 되어야 한다는 이야기가 나왔습니다. 그리고 이제 인공지능의 시대가 되었습니다. 동시에 ‘인문계는 망했다’는 이야기가 곳곳에서 터져 나왔습니다. 하지만 그와 비례해서 인문학적 기초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반론 역시 거셉니다. 5차산업혁명의 시대, 인문계 학과는 여러 분야에 걸친 깊이 있는 지식을 바탕으로 통합적 사고를 통해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M자형 인재’를 키워내고 있습니다. M자형 인재는 한마디로 인문학적 통찰로 세상의 모든 데이터를 활용할 수 있는 기획자입니다.

지금 처음 만나는 미래를 미리 준비해야 하는 매우 중요한 전환기에 선 중‧고등학생이신가요? 자연계는 영 적성이 아니어서 인문계 학과를 선택하려고 하는데 도대체 진학과 진로를 어떻게 준비해야 하는지 모르겠다고요? 인문계 학과를 가면 취직을 못 할까 봐 걱정된다고요? 생각보다 인문계 학과에도 재미있을 뿐만 아니라 유망한 학과가 많습니다. 그런데도 이에 대해 체계적으로 알려주는 진학 자료가 많지 않습니다.

학생과 학부모, 교사에게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는 진학‧진로 길잡이

이 책은 먼저 대학에 어떤 학과들이 있는지 차례에서 한눈에 보여줍니다. 칼 구스타프 융의 말처럼 ‘모르는 것은 꿈꿀 수도 없기’에 우선 인문계 학과에 어떤 것들이 있는지 최대한 많이 알아야 합니다. 또 해당 페이지에 연관학과와 인접학과를 마인드맵으로 실어 다양한 선택의 영역을 알려줍니다. 그다음 무엇을 배우는지, 이를 위해 어떤 공부와 대비를 해야 하는지 살펴볼 수 있게 했습니다. 어떤 적성과 흥미를 지닌 학생에게 잘 맞는지 친절하게 설명해주니 자신의 성향과 맞추어볼 수 있습니다. 졸업 후 진로까지 알려주어 미래를 대비하도록 했습니다.

2025년부터는 전국적으로 고교학점제가 본격 시행됩니다. 수시 모집의 학생부종합전형에서 전공과 관련된 과목을 적절하게 선택하는 것이 주요 평가 사항이 된 것입니다. 따라서 단순히 좋아하는 과목, 높은 점수를 받을 수 있는 과목을 선택하는 것이 아니라 내가 진학하고자 하는 학과에 맞는 과목을 선택해야 합니다. 이 책의 ‘고교학점제 준비, 이렇게 하세요’는 각 학과별로 고교학점제에서 해당 학과에 진학하기 위해 수강해야 하는 과목을 정리해두었습니다. 이 책에 소개된 고교학점제 정보를 통해 학생들은 자신의 진로를 탐색하며 수강해야 하는 과목을 쉽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이 책은 2025년 현재 고2, 고3 학생들을 기준으로 고교학점제를 집필했습니다. 고교학점제가 본격적으로 적용되는 현재 고1 학생은 1학년 때는 공통과목을 중심으로 듣고 2학년부터 진로와 적성에 따라 선택과목을 이수해야 합니다. 2022년 개정 교육 과정에 따라 과목명은 바뀔 수 있습니다.)

막막함과 무기력은 진로를 알지 못한다는 사실에서 비롯되는 경우가 적지 않습니다. 중‧고등학생이라면 실패를 두려워하지 말고 좋아하는 일과 관련된 경험을 쌓고 여러 활동에 도전해보면서 하고 싶은 일을 적극적으로 찾아야 합니다. 이 책을 통해 학생들의 미래에 대한 두려움이 희망과 기대로 바뀌고, 더 나아가 미래 전공에 대한 구체적인 지식이 강한 진학 동기와 학습 실천으로 이어지기를 기대해봅니다.

더 나아가 이 책은 진로 지도와 상담에 자료가 필요했던 부모님, 선생님들에게도 좋은 길잡이가 되어줍니다.

 

목차

추천글

 

PART 1 인문‧창작계열

001 국어국문학과

002 국제문화정보학과

003 국제지역학과

004 문예창작학과

005 문헌정보학과

006 문화인류학과

007 문화재보존학과

008 문화콘텐츠학과

009 사회·산업심리학과

010 스토리텔링학과

011 역사문화학과

012 융합고고학과

013 자율전공학부

014 철학상담학과

PART 2 어학‧외국어계열

015 관광통역과

016 기타아시아어학과

017 기타유럽어학과

018 영어영문학과

019 외국어학과

020 일어일문학과

021 중어중문학과

022 통·번역학과

023 한국어학과

 

PART 3 사회계열

024 건축학과

025 광고홍보학과

026 노인복지학과

027 멀티미디어학과

028 사회복지학과

029 사회학과

030 신문방송학과

031 아동복지학과

032 언론홍보학과

033 외식산업학과

034 항공서비스학과

 

PART 4 정치‧행정‧외교계열

035 경찰행정학과

036 국제관계학과

037 국제법무학과

038 군사학과

039 도시계획학과

040 법학과

041 보건행정학과

042 비서행정학과

043 정치외교학과

044 지역개발학과

045 해양경찰학과

046 행정학과

PART 5 교육계열

047 교육공학과

048 언어치료학과

049 유아교육학과

050 유아특수재활과

051 청소년지도학과

052 초등교육학과

053 특수교육학과

054 특수체육교육과

PART 6 경제‧경영계열

055 e-비즈니스학과

056 경영정보학과

057 관광경영학과

058 국제통상학과

059 금융보험학과

060 농업경제학과

061 마케팅경영과

062 무역학과

063 물류학과

064 벤처창업학과

065 부동산학과

066 산업경영학과

067 세무학과

068 스포츠마케팅학과

069 유통학과

070 의료경영학과

071 호텔경영학과

072 회계학과

 

PART 7 건강‧스포츠계열

073 경호학과

074 건강관리학과

075 레저스포츠학과

076 사회체육학과

077 스포츠건강관리학과

078 스포츠지도학과

079 해양스포츠학과

 

PART 8 예술‧방송계열

080 공업디자인학과

081 공예디자인학과

082 금속공예학과

083 디지털디자인학과

084 만화애니메이션학과

085 반려동물학과

086 방송제작과

087 미디어영상학과

088 뷰티미용학과

089 사진영상학과

090 산업디자인학과

091 섬유디자인학과

092 시각디자인학과

093 실내디자인학과

094 실용음악학과

095 연극영화학과

096 조형디자인학과

097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과

098 컴퓨터디자인학과

099 패션디자인학과

100 환경디자인학과

 

더보기접기

저자&기여자

ㆍ지은이 길벗교육연구회

소개
길벗교육연구회는 중‧고등학교 선생님들이 모여 만든 교육연구 모임입니다. 2025년 고교학점제 전면 도입으로 변화하는 교육 환경에서 학생들에게 더 나은 진학‧진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관련 연구에 힘쓰고 있습니다. 이 책은 인문계를 선택한 학생들이 일찍부터 미래 진로를 고민하고 전공학과와 대학을 정해 고교 이수 과목을 챙겨 듣는 데 도움을 주기 위해 집필되었습니다.

연관 프로그램

아래 프로그램은 길벗출판사가 제공하는 것이 아닙니다.
무료로 사용할 수 있는 정보를 안내해 드리니, 지원이 필요하면 해당 프로그렘 제작사로 문의해 주세요.